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2025 고지혈증 진단 기준 & 약값 총정리 (정상수치표 포함)

by 뉴푸션3 2025. 4. 12.
반응형

2025 고지혈증 진단 기준 & 약값 총정리 (정상수치표 포함)

 

고지혈증, 건강검진에서 ‘주의’ 뜨셨나요?

건강검진 결과에서 ‘고지혈증 의심’이라고 뜨면
괜히 걱정되죠.


2025년엔 고지혈증 진단 기준과 관리 기준이
조금 더 명확해졌습니다.

 

고지혈증은 조기 진단 → 식습관 조절 → 약 복용으로 관리 가능한 질환
정확한 수치 기준과 약값, 보험 여부까지 알려드릴게요.


고지혈증이란?

 

혈액 내 지방 성분(콜레스테롤, 중성지방 등)이 정상보다 많은 상태


→ 혈관벽에 쌓여 심혈관질환·뇌졸중 등 위험 증가


고지혈증 진단 기준 (2025 기준)

항목 기준 수치
총콜레스테롤 200mg/dL 이상 (고지혈증 기준)
LDL-콜레스테롤 130mg/dL 이상 (심혈관 위험 시 100 이상도 주의)
HDL-콜레스테롤 남성 40 미만 / 여성 50 미만
중성지방 150mg/dL 이상

※ 2개 이상 수치가 기준 초과 시 ‘이상지질혈증’으로 분류


고지혈증 약물 치료 기준

  • 경증: 생활습관 개선 + 3~6개월 후 재검
  • 중증: 바로 약물 치료 시작
     스타틴 계열 약물 가장 많이 처방

고지혈증 약값 정보

약명 성분 1일 복용 기준 약값(건보 적용)
로수바스타틴 스타틴계열 약 400~800원
아토르바스타틴 스타틴계열 약 500~1,000원
에제티미브 복합제 콜레스테롤 억제제 약 1,200~1,800원

 건강보험 적용되면 월 약값 1~2만 원 수준
※ 처방전 필수 / 고혈압, 당뇨병 동반 시 복합제 사용 많음


자주 묻는 질문 (FAQ)

Q. 약을 먹으면 평생 복용해야 하나요?
→ 경증은 식습관 개선으로 회복 가능.
단, 재발률 높아 장기 복용 권장되는 경우 많음

 

Q. 영양제나 오메가3로도 조절되나요?
→ 일부 효과 있지만, 수치가 높은 경우 약물 병행 필요

 

Q. 진단받으면 실비보험 되나요?
→ 통원치료, 약 처방에 따라 일부 실비 청구 가능


마무리

고지혈증은 초기에 발견하면
생활습관 조절 + 약물 치료로 충분히 관리 가능한 질환입니다.


검진 결과에서 수치가 높게 나왔다면
정확한 기준을 확인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하세요!

 

함께 읽어보세요


[2025 건강검진 대상자 조회 방법 + 무료 대상 정리]


→ 고지혈증도 검진으로 미리 확인 가능합니다.

반응형